J Korean Med Assoc Search

CLOSE


J Korean Med Assoc > Volume 67(7); 2024 > Article
노쇠의 진단과 관리

Abstract

Background: Frailty, a syndrome characterized by reduced physiological reserve and heightened susceptibility to stressors, impairs homeostasis across physical,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domains in older adults. Approximately 50% of older Korean adults are frail or pre-frail, which highlights the need for targeted interventions in community healthcare and primary care settings.
Current Concepts: Various methods, including use of physical and biological markers and health deficit analysis are available for frailty assessment; the Frailty Phenotype and Frailty Index are widely used screening tools. Following advances in technology, electronic health records and big data play a key role in identifying potential biomarkers. Considering the multifaceted nature of frailty,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s are recommended for holistic evaluation and management, based on a patient’s medical, psychological, and functional capabilities. Effective management can reverse frailty, which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arly detection and multidisciplinary interventions. International and national guidelines propose a comprehensive approach focusing on modifiable risk factors, physical activity, a balanced diet, chronic disease management, social participation, and regular review of medication regimens. Personalized care plans based on comprehensive assessments are essential to enhance or maintain the residual function of frail older adults to improve their quality of life and reduce the need for long-term care.
Discussion and Conclusion: Timely and effective management of potentially reversible frailt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ompt detection and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care. International and national guidelines recommend a holistic management strategy. Tailored care plans based on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s are pivotal in improving or maintaining the functional capabilities of frail elderly individuals to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서론

노쇠는 항상성을 유지할 수 있는 생리적 예비력(내재적 능력)이 감소하여 외부의 스트레스에 취약한 상태로[1], 노년기 건강관리에 있어 중요한 임상적 증후군 중 하나이다. 한 가지 원인으로 발생하는 질병이라기보다 여러 기관에서 기능이 감소하여 나타나는 노인증후군의 하나로 볼 수 있다. 노쇠한 경우 작은 스트레스에도 크게 반응하고, 오래 반응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Figure 1) [2]. 노쇠로 인한 전반적인 기능 저하는 낙상, 장애 등의 부정적 예후의 가능성을 높이고, 장기적으로는 돌봄 요구가 증가하여 입원, 장기요양시설 입소, 사망까지 이어질 수 있다[2,3]. 최근 국내 연구에 따르면, 65세 이상 고령층의 약 23.1%가 노쇠, 약 32.7%가 전노쇠 상태이다[4]. 약 절반의 고령인구가 노쇠 또는 전노쇠 상태로, 국내 노쇠 인구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노쇠를 적시에 발견하여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지역사회의료, 일차의료 분야에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임상적으로 노쇠한 고령층은 의도하지 않은 체중 변화가 있거나, 근육량 감소와 근력저하, 요실금, 식욕 감퇴, 청력 또는 시력 감소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또한 인지기능 저하나 치매, 우울증 등을 앓고 있는 경우 노쇠할 가능성이 높다. 이처럼 노쇠는 다양한 형태로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에 한 가지 측면에서 진단과 평가가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다각적인 평가를 통한 종합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학제 간 조정된 통합 치료계획을 위해 노쇠한 고령층의 의학적, 심리적, 기능적 능력을 진단하는 과정으로 노인포괄평가(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를 활용하는 것을 권고한다[5].
현재까지 노쇠를 진단하는 최적 표준(gold standard)은 없으며, 각각의 임상 현장에서 활용하기 적합한 진단 도구를 통해 노쇠를 확인한다[1]. 주로 지역사회에서는 비교적 간편한 스크리닝 도구를, 일차의료 현장에서는 혈액 또는 임상검사 결과를 활용할 수 있는 도구를, 돌봄 현장에서는 다양한 요구 사정(needs assessment)을 위한 종합적인 평가도구 등을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노쇠를 진단한다. 노쇠를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에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노쇠 위험이 높거나 노쇠한 사람을 적시에 발견하여 관리가 필요한 영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하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요약하면, 노쇠는 빠른 진단과 적절한 관리가 매우 중요한 임상적 상태로, 국내 고령인구의 약 50%가 노쇠 위험이 있다. 일차의료, 지역사회에서 노쇠한 고령층을 조기에 발견하여 의학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기에 이번 특집에서는 대표적인 노쇠의 진단 방법을 소개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노쇠로 진단된 고령층을 관리하는 방법을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노쇠의 진단

노쇠 임상 진단에 사용되는 도구는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신체적 특성에 따른 진단, 생물학적 지표를 통한 진단, 누적된 건강 저하 지표를 통한 진단, 의사의 판단, 자가 보고, 신체기능 기반 평가, 다영역 평가에 따른 진단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노쇠의 진단을 위해 Fried 등[6]이 개발한 frailty phenotype과 Rockwood와 Mitnitski [7]가 제안한 frailty index가 가장 많이 활용된다. 전자는 악력 감소(weakness), 보행속도 감소(slow gait speed), 신체활동량 감소(low physical activity), 탈진(exhaustion), 의도하지 않은 체중 감량(unintentional weight loss) 여부를 평가하여, 3개 이상일 경우 노쇠군으로 진단한다[6]. 후자는 임상적으로 건강상태의 저하가 있는 개수를 전체 검사항목 수로 나누어 지수화하여 노쇠를 진단한다[7]. 인지기능, 감각기능, 신체기능, 영양상태, 정서상태 등 다방면으로 평가해 frailty index를 계산하여 점수가 높을수록 노쇠 위험이 높다고 판단하고, 노쇠한 정도에 따라 9개의 단계로 분류한다. 이상의 대표적인 노쇠 진단 도구는 임상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국어판이 개발된 바 있다[8,9]. 간단한 설문이나 기본적인 건강상태 평가를 통해 편리하게 진단할 수 있기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기를 권한다(Tables 1, 2) [8,9].
최근 의료데이터의 활용이 많아지면서 전자의무기록을 통한 electronic frailty index,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통한 claims-based frailty index 등으로 노쇠를 진단하기도 하며, 일상의 라이프로그 데이터를 수집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노쇠 위험요인 평가방법 개발이 시도되고 있다[10,11]. 또한 병·의원에서 일상적으로 수집하는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분석을 통해 노쇠 관련 주요 바이어마커들을 발굴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유럽 4개의 주요 노인 코호트 자료를 바탕으로 한 연구결과, pro B-type natriuretic peptide, cardiac troponin T, soluble receptor for advanced glycation end products가 노쇠 위험을 높이는 주요 바이오마커로 확인되는 등[3]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다양한 노쇠 진단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한편, 노쇠는 다양한 영역에서의 기능 저하로 인해 스트레스에 매우 취약한 상태이기 때문에 단편적으로 노쇠를 평가하는 것은 관리 측면에서 제한된 정보를 제공한다. 이에 최근 노인병학에서는 노인포괄평가를 통한 노쇠의 진단과 관리 계획 수립을 권장하고 있다. 노인포괄평가는 동반질환, 신체기능, 정서상태, 인지기능, 영양상태, 약제복용상태, 노인증후군 여부 등 다면적으로 평가하는 도구이다(Figure 2) [1,12].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에서는 노인의 건강상태와 돌봄 요구를 평가하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노인포괄평가를 소개한다[5]. 주요한 문제의 영역을 파악하고 우선 순위를 결정하여 관리의 목표를 세우는 데 노인포괄평가에 목적이 있다. 노쇠 진단에 있어 frailty phenotype 등 간단한 항목으로 진단하는 부분은 진료현장에서 시간적 측면에서 효과적이나 관리 전략을 수립하는 데는 정보가 부족하다는 제한이 있다. 이에 노인포괄평가를 함께 검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다학제팀이 협력하여 계획을 세운다면 노인 중심 통합 관리의 초석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노쇠의 관리

1. 노쇠 관리의 개요

노쇠는 적절한 시기에 관리한다면 가역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일차적으로는 노쇠를 예방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비교적 젊은 나이부터 관리를 시작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14]. 노쇠하거나 노쇠 위험이 높은 경우 위험요인의 누적을 관리하고, 다학제적 관리를 통해 잔존 기능을 향상 또는 유지하는 것이 방향으로 접근이 필요하다. 이상적인 방법으로는 노인포괄평가를 통해 관리가 필요한 영역을 확인하여 개인 맞춤형 관리를 계획하고 진행하는 것이 좋다. 수정가능한(modifiable) 영역과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할 영역 위주로 우선 순위를 정하고 돌봄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가령, 고령자의 상태에 따라 노쇠 관리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접근할 수 있다(Figure 3). 질병 이환 상태, 노쇠 상태, 환자의 개별 특성을 고려하여 노쇠 관리의 우선 순위로 설정할 수 있다. (1) A/B/C+G: 질병으로 인한 노쇠/기능 저하가 있는 경우; (2) D/E/F+G: 질병은 없지만 노쇠/기능 저하가 있는 경우; (3) A/B/C+H: 질병은 있지만 노쇠/기능 저하가 없는 경우; (4) D/E/F+H: 건강군, 질병과 노쇠/기능 저하 모두 없는 경우. (1)의 경우에는 질병 치료가 되지 않아 질병으로 인한 노쇠/기능 저하가 있는 경우로, 이환된 질병을 우선적으로 치료하고, 질병 때문에 저하된 기능을 호전 및 유지시키는 것을 목표로 관리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2)의 경우에는 질병은 없으나 노쇠/기능 저하가 있는 경우로, 질병으로 인한 기능 저하가 아니기 때문에 집중적인 노쇠 관리가 필요한 경우라고 할 수 있다. 노인포괄평가를 통해 기능이 저하된 영역을 파악하고 맞춤형 노쇠 관리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3)의 경우에는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환된 질병을 우선적으로 치료하고, 치료 이후 기능 상태의 호전을 확인하고 궁극적으로는 노쇠를 예방하는 데 초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4)의 경우는 건강한 군으로 기능이 좋을 때부터 장기적으로 노쇠를 예방하는 것을 목표로 예방적 접근을 권고한다. 단, (1-4) 경우 모두 복합 질환 이환인 경우 더욱 정교한 치료계획이 필요하며, 이상의 대략적인 원칙을 가지고 환자의 개별 특성을 고려하여 치료계획에 있어 환자 중심 의사결정을 권장한다.

2. 노쇠 관리 가이드라인

임상 현장에서의 권고되는 노쇠 관리 국제가이드라인은 International Conference of Frailty and Sarcopenia Research guideline [15], National Institute for Health and Care Excellence guideline, Integrated Care for Older People guideline, British Columbia (Canada) guidelines for the early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of frailty, Asia-Pacifi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frailty 등이 있다[1]. Asia-Pacific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frailty는 유효한 평가도구를 통한 노쇠 검사와 신체활동의 증진, 복용 약제 관리는 강력하게 권고되며, 피로 또는 탈진의 원인을 확인하고, 의도하지 않은 체중 감소를 확인하고, 비타민D를 복용하는 것은 환자의 특성에 따라 조건적으로 권고한다(Table 3) [16].
한편, 국내에서는 대한가정의학회 및 유관학회의 노쇠 관리 임상 가이드라인, 한국노인노쇠코호트사업단 연구팀에서 개발한 일차의료 노쇠 예방 가이드라인이 있다(Table 4) [17,18]. 대한가정의학회에서 권장하는 가이드라인 중 근거 수준이 높고 권장 정도가 높은 항목은 다음과 같다. 진단과 평가에 있어 70세 이상의 지역사회 거주 노인에게 노쇠 스크리닝 검사를 하는 것을 권장하며, 검증된 평가도구를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노쇠로 진단된 환자에게는 노인포괄평가를 추가적으로 하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중재와 모니터링 측면에서는 복용 약제를 검토하고, 불필요한 약제는 중단하고, 필요한 약제가 있다면 다른 약제와 상호작용이 있는지 등을 검토하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노쇠로 진단된 환자에게는 저항성운동, 유산소운동, 균형운동 등의 신체활동과 체중 감소 및 영양상태를 평가하는 것이 권장한다.
한편, 한국노인노쇠코호트사업단 연구팀에서 권장하는 노쇠의 주요 관리 영역은 신체활동(physical activity), 회복탄력성(resilience), 구강 건강(oral health), 만성질환 관리(management of non-communicable diseases), 사회 참여(involvement in society), 금연(smoking cessation), 균형 잡힌 식단(eating various kinds of food)으로, 앞 글자를 따 PROMISE 노쇠 관리 영역으로 기억하면 쉽다. 노쇠의 적절한 관리를 위해 신체적으로는 복합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권장되며, 정신적으로는 정신건강 전문가와 함께 심리적 문제를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치아 상태의 관리와 적극적인 만성질환의 관리가 요구된다. 복용 중인 약제는 규칙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적 측면에서는 사람을 자주 만나는 것뿐만 아니라 자신과 배우자를 잘 돌보는 것을 권장한다. 금연과 균형 있고 충분한 식사 또한 중요하다. 이상의 국내외 가이드라인 검토를 통해 노쇠 관리에 있어 어느 한 영역만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포괄적인 평가에 기반한 종합적인 관리를 제안하는 바다.

결론

노쇠는 생리적 예비력 감소로 인한 취약 상태로, 다양한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증후군이다. 현재 국내 고령인구의 약 1/2가 노쇠 위험에 처해 있고, 고령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 노쇠 인구의 관리는 매우 필요한 시점이다. 노쇠 진단은 Fried 등[6]과 Rockwood와 Mitnitski [7]의 방법 등을 포함한 다양한 도구를 사용하며, 최근에는 전자의무기록이나 빅데이터를 활용한 방법도 연구되고 있다. 노쇠 관리는 노인포괄평가를 기반으로 한 개인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며, 국제 및 국내 가이드라인을 통해 신체활동 증진, 영양 관리, 만성질환 관리 등 다면적인 접근을 권장한다.

Notes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Figure 1.
Responses to a stressor according to the functional abilities or intrinsic capacities. Illustrated by the author.
jkma-2024-67-7-442f1.jpg
Figure 2.
The assessment domains of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ADL, activity of daily living. Illustrated by the author.
jkma-2024-67-7-442f2.jpg
Figure 3.
Example of approach to frailty management principles. Illustrated by the author.
jkma-2024-67-7-442f3.jpg
Table 1.
English and Korean versions of the frailty phenotype questionnaire
Item English version Korean version Answer options Score
Fatigue During the past week, I felt that everything I did was an effort. 지난 1주일간 나는 모든 일들이 힘들게 느꼈나요? 1=극히 드물었다(일주일 동안 1일 미만) 3, 4: 1점
2=가끔 있었다(일주일 동안 1-2일간)
3=종종 있었다(일주일 동안 3-4일간)
4=대부분 그랬다(일주일 동안 5일 이상)
Resistance By yourself and not using aids, do you have any difficulty walking up 10 stairs without resting? 보조기구나 타인의 도움 없이 혼자서 쉬지 않고 10개의 계단을 오르는 데 힘이 드나요? 1=예 1 (예): 1점
2=아니오
Ambulation Do you have any difficulty walking one lap of a playground track (400 m)? 운동장 한 바퀴(400 m) 정도 걷기를 할 수 있습니까? 1=전혀 할 수 없다 1,2,3: 1점
2=매우어렵다
3=약간 어렵다
4=전혀 어렵지 않다
Inactivity During the past week, how often did you participate in any moderate physical activities that make you slightly more breathless than usual, such as rapid walking, carrying a light item, cleaning, infant care (carrying, bathing)? (excluding walking) 지난 7일간 “중간 강도의 신체활동이나 격렬한 활동a)을 1회 이상 하였습니까? (단순 걷기는 포함하지 않음) 0=안함 0 (안함): 1점
During the past week, how often did you engage in vigorous physical activities, such as vigorous sports, carrying 20 kg or more weights, carrying items up a set of stairs, digging, construction laboring? a)격렬한 신체활동: 무거운 것을 들어 올리거나 나르는 일(20 kg 이상), 땅 파기, 노동, 계단으로 물건 나르기 등을 의미함. 1=1회 이상
Loss of weight Was there an unintentional weight loss of 4.5 kg in the past year? 작년 체중에 비해 1년 동안 4.5 kg 이상 감소하였습니까? 1=예 1 (예): 1점
2=아니오

Based on [8]. Sum of the 5 items' score 0 (robust), 1-2 (prefrail), 3-5 (frail).

Table 2.
English and Korean versions of clinical frailty scale
Category English version Korean version
1 Very Fit: People who are robust, active, energetic and motivated. These people commonly exercise regularly. They are among the fittest for their age. 매우 건강함: 원기 왕성하고, 활동적이며, 활기차고, 의욕적입니다. 여기에 속하는 사람들은 규칙적으로 운동을 합니다. 또래 중에는 가장 건강한 편에 속합니다.
2 Well: People who have no active disease symptoms but are less fit than category 1. Often, they exercise or are very active occasionally, e.g. seasonally. 건강함: 현재 질병으로 인한 증상이 없는 사람들이지만 1번 범주의 사람들보다는 덜 건강합니다. 이들은 가끔 운동을 하거나 활동적인 일을 할 수 있습니다.
3 Managing Well: People whose medical problems are well controlled, but are not regularly active beyond routine walking. 잘 관리됨: 의학적인 문제들은 있으나 잘 조절이 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일상적인 걷기 이상의 규칙적인 활동은 하지 않는 사람들입니다.
4 Vulnerable: While not dependent on others for daily help, often symptoms limit activities. A common complaint is being “slowed up” and/or being tired during the day. 취약함: 일상생활에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하지는 않지만 질병에 의한 증상으로 인해 종종 활동에 제한을 받습니다. 흔히 움직임이 느려지거나 낮에 피곤함을 느낍니다.
5 Mildly Frail: These people often have more evident slowing, and need help in high order IADLs (finances, transportation, heavy housework, medications). Typically, mild frailty progressively impairs shopping and walking outside alone, meal preparation and housework. 경증 쇠약: 여기 속한 사람들은 더욱 움직임이 느려지며, 높은 단계의 일상생활(돈 관리, 교통수단 이용, 힘든 집안일, 약 복용) 등에 도움이 필요합니다. 보통 경증 쇠약은 혼자 장보고 외출하기, 식사 준비와 집안일 하는 것을 점차 어렵게 합니다.
6 Moderately Frail: People need help with all outside activities and with keeping house. Inside, they often have problems with stairs and need help with bathing and might need minimal assistance (cuing, standby) with dressing. 중등도 쇠약: 모든 바깥 활동과 집안일을 하는 데 도움이 필요합니다. 실내에서는 일반적으로 계단을 오르거나 목욕을 하는 데 어려움이 있고, 씻고 옷을 갈아입을 때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7 Severely Frail: Completely dependently for personal care, form whatever cause (physical or cognitive). Even so, they seem stable and not at high risk of dying (within 6 months). 중증 쇠약: 어떤 이유(신체 장애 또는 인지 장애)로든 개인위생(목욕, 양치, 세수)까지 완전히 남에게 의존적인 삶이 된 상태입니다. 그렇지만 안정적이어서 곧(6개월 이내에) 사망할 위험성은 높지 않은 사람들입니다.
8 Very Severely Frail: Completely dependent, approaching the end of life. Typically, they could not recover even from a minor illness. 고도 중증 쇠약: 완전히 의존적이며 임종기로 진행 중인 상태입니다. 보통, 이들은 경미한 질병이라도 회복하기 어렵습니다.
9 Terminally Ill: Approaching the end of life. This category applies to people with a life expectancy <6 months, who are not otherwise evidently frail. 말기: 임종기로 진행하는 사람들입니다. 눈에 띄게 쇠약하지 않지만 기대 여명이 6개월 미만인 사람들이 이 범주에 해당합니다.

Adapted from Ko RE et al. BMC Geriatr 2021;21:47, according to the Creative Commons license [9].

Table 3.
Asia-Pacific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frail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frailty
Strong recommendations
1. Identifying frailty using a validated measurement tool.
2. A progressive, individualized physical activity program that contains a resistance training component is recommended for older adults with frailty.
3. Reducing or deprescribing any inappropriate or superfluous medications to avoid polypharmacy is recommended.
Conditional recommendations
4. Older adults with frailty are recommended to be screened for causes of fatigue.
5. Older adults with frailty who exhibit unintentional weight loss are recommended to be screened for reversible causes and considered for food fortification/protein and caloric supplementation.
6. The prescription of vitamin D is recommended for individuals found to be deficient in vitamin D.
No recommendation
7. No recommendation for the provision of an individualized support and education plan for older adults with frailty.

Modified from Dent E et al. J Am Med Dir Assoc 2017;18:564-575 [16].

Table 4.
Korean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managing frailty in primary care settings
Recommendations Level of evidence Strength of recommendation
Diagnosis and assessment
1. It is recommended to conduct a screening test for frailty in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aged 70 years or older. A I
2. It is recommended to use validated evaluation tools to conduct screening tests for frailty. A I
3. Diagnostic tests for patients with frailty or pre-frailty status in the screening test may be considered. C IIb
4. It is recommended to conduct a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in patients diagnosed with frailty. A I
5. It is recommended that patients diagnosed with advanced frailty be referred to geriatric specialists who can provide specialized management in geriatric medicine. C I
Intervention and monitoring
6. It is recommended to assess and review medications being used by elderly patients with frailty and to make adjustment to the drugs if necessary. A I
7. It is recommended that physical activities, including resistance, aerobic, and balance exercises, be implemented in frail elderly patients. A I
8. It is recommended to evaluate body weight loss and nutritional status in frail elderly patients and to perform interventions. A I
9. Evaluation and training of oral health in frail elderly patients should be considered. A IIa
10. Vitamin D supplementation is recommended only for frail patients with vitamin D deficiency. A I
11. Hormone supplementation therapy aimed at treating frailty is not recommended. A III
12. Evaluation of cognitive function in patients diagnosed with frailty should be considered. B IIa
13. Interventions to prevent cognitive impairment should be considered selectively in patients diagnosed with frailty. A IIa
14. Fall screening tests (history taking for fall, assessment of gait and balance) should be conducted in frail elderly, and interventions should be considered for multi-dimensional fall risk assessment and fall prevention in high-risk groups. B IIa
15. Evaluation and intervention for social frailty in patients diagnosed with frailty are recommended. C I
16. Periodic evaluation and monitoring may be considered in patients diagnosed with frailty. D IIb
A: Evidence for the recommendation is clear; evidence derived from at least on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a-analysis or systematic review
B: Evidence for the recommendation is reliable; evidence derived from at least one well-performed case-control study or non-randomized clinical study such as cohort study
C: There is few evidence for recommendation, but it is not reliable; evidence derived from observational study or case report.
D: Evidence for the recommendation is expert opinion; evidence derived from clinical experience and expertise.
I: Level of evidence (A), clear benefits, and easy utilization at the clinical setting. The recommendation is recommended.
IIa: Level of evidence (B), reliable benefits, and easy to moderate utilization at the clinical setting. The recommendation should be considered.
IIb: Level of evidence (C or D), unreliable benefits, but easy to moderate utilization at the clinical setting. The recommendation may be considered.
III: Level of evidence (C or D), unreliable benefits or potential harm, and low utilization at the clinical setting. The recommendation is not recommended.

Adapted from You HS et al. Korean J Fam Med 2021;42:413-424, according to the Creative Commons license [18].

References

1. Dent E, Martin FC, Bergman H, Woo J, Romero-Ortuno R, Walston JD. Management of frailty: opportunities,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Lancet 2019;394:1376-1386.
crossref pmid
2. Clegg A, Young J, Iliffe S, Rikkert MO, Rockwood K. Frailty in elderly people. Lancet 2013;381:752-762.
crossref pmid pmc
3. Lee H, Lee E, Jang IY. Frailty and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J Korean Med Sci 2020;35:e16.
crossref pmid pdf
4. Jung HW, Jang IY, Back JY, et al. Validity of the Clinical Frailty Scale in Korean older patients at a geriatric clinic. Korean J Intern Med 2021;36:1242-1250.
crossref pmid pdf
5. Naughton C, Galvin R, McCullagh R, Horgan F.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where are we now, where do we need to be in the context of global ageing? Age Ageing 2023;52:afad210.
crossref pmid pdf
6. Fried LP, Tangen CM, Walston J, et al. Frailty in older adults: evidence for a phenotype.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1;56:M146-M156.
crossref pmid
7. Rockwood K, Mitnitski A. Frailty in relation to the accumulation of deficit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7;62:722-727.
crossref pmid
8. Kim S, Kim M, Jung HW, Won CW. Development of a frailty phenotype questionnaire for use in screeni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 Am Med Dir Assoc 2020;21:660-664.
crossref pmid
9. Ko RE, Moon SM, Kang D, et al. Translation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linical frailty scale in older patients. BMC Geriatr 2021;21:47.
crossref pmid pmc pdf
10. Clegg A, Bates C, Young J,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electronic frailty index using routine primary care electronic health record data. Age Ageing 2016;45:353-360.
crossref pmid pmc
11. Kim DH, Schneeweiss S, Glynn RJ, Lipsitz LA, Rockwood K, Avorn J. Measuring Frailty in Medicare Dat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laims-Based Frailty Index.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18;73:980-987.
crossref pmid
12. Briggs R, McDonough A, Ellis G, Bennett K, O’Neill D, Robinson D.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for community-dwelling, high-risk, frail, older peopl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22;5:CD012705.
crossref pmid
13. Lang PO, Michel JP, Zekry D. Frailty syndrome: a transitional state in a dynamic process. Gerontology 2009;55:539-549.
crossref pmid pdf
14. Won CW. Up-to-date knowledge of frailty. J Korean Med Assoc 2022;65:108-114.
crossref pdf
15. Gosselink R. Appraisal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physical frailty: ICFSR internation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identification and management. J Physiother 2022;68:75.
crossref
16. Dent E, Lien C, Lim WS, et al. The Asia-Pacific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frailty. J Am Med Dir Assoc 2017;18:564-575.
crossref pmid
17. Ki S, Yun JH, Lee Y, et al. Development of guidelines on the primary prevention of frailty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Ann Geriatr Med Res 2021;25:237-244.
crossref pmid pmc pdf
18. You HS, Kwon YJ, Kim S,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for managing frailty in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adults in primary care settings. Korean J Fam Med 2021;42:413-424.
crossref pmid pmc pdf

Peer Reviewers’ Commentary

이 논문은 곧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우리나라에서 관심이 높은 노쇠에 대한 진단과 관리에 대해 기본적인 개념에서부터 여러 임상적인 의의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관련한 여러 도구와 근거 자료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노쇠관리 측면에서 질병 이환, 노쇠상태, 개별 특성을 고려하여 수정이 가능한 영역과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할 영역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고 있어, 이 논문을 통해 노쇠의 진단과 관리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정리: 편집위원회]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ARCHIVES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37 Ichon-ro 46-gil, Yongsan-gu, Seoul
Tel: +82-2-6350-6562    Fax: +82-2-792-5208    E-mail: jkmamaster@gmail.com                

Copyright © 2024 by Korean Medical Association.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